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ESS) 업계가 이달 초 화재조사 결과 발표에 이어 이번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혜택 축소를 앞두고 고민이 커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대표 '유인책'으로 꼽히는 REC 가격이 급락하면서 혜택 없이는 사실상 ESS 수요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20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REC 현물시장 가격은 4만1521원(육지 평균가)으로 작년 2월 19일(7만7186원)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REC는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했음을 증명해주는 인증서인데, 공급과잉으로 인해 가격이 줄곧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신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중 하나인 REC 가중치(태양광 연계 ESS 대상)는 기존 5.0에서 오는 7월부터 4.0으로 떨어진다. REC 가중치 5.0은 기업이 1REC를 생산하면 정부에서 5REC를 생산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정책으로, 정부는 지난해 ESS 화재로 업계가 고사 위기에 놓이자 가중치(5.0)를 6개월 연장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REC 가중치와 관련 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나 7월 이후로 추가 연장이 가능할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는 통상 ESS를 설치해 저장한 전력을 시장에서 거래하기 때문에 REC 가격은 ESS 업계와 직결된다.
ESS 업계 관계자는 "REC 가격이 하락하면 ESS를 새로 설치하려는 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며 "어떤 업체가 공급과잉에 인센티브도 사라진 시장에 뛰어들겠느냐"고 호소했다.
REC를 통해 이익을 얻기가 힘들어지면 ESS 설치 유인이 줄어들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주 고객으로 하는 ESS 업계는 매출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화재 안전대책에 따른 수익성 악화 문제도 겪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일 ESS 2차 화재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높은 배터리 충전율을 화재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신규설비 충전율 제한을 옥내 80%, 옥외 90%로 의무화하는 안전대책을 내놨다.
전력변환장치(PCS) 업계 관계자는 "충전율 조건을 안전하게 낮추면 경제성이 떨어져 사업을 하려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라며 "용량 제한이 아닌 다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20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8일 기준 REC 현물시장 가격은 4만1521원(육지 평균가)으로 작년 2월 19일(7만7186원)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 REC는 발전사업자가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했음을 증명해주는 인증서인데, 공급과잉으로 인해 가격이 줄곧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신재생에너지 인센티브 중 하나인 REC 가중치(태양광 연계 ESS 대상)는 기존 5.0에서 오는 7월부터 4.0으로 떨어진다. REC 가중치 5.0은 기업이 1REC를 생산하면 정부에서 5REC를 생산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정책으로, 정부는 지난해 ESS 화재로 업계가 고사 위기에 놓이자 가중치(5.0)를 6개월 연장한 바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REC 가중치와 관련 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으나 7월 이후로 추가 연장이 가능할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는 통상 ESS를 설치해 저장한 전력을 시장에서 거래하기 때문에 REC 가격은 ESS 업계와 직결된다.
REC를 통해 이익을 얻기가 힘들어지면 ESS 설치 유인이 줄어들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를 주 고객으로 하는 ESS 업계는 매출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화재 안전대책에 따른 수익성 악화 문제도 겪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일 ESS 2차 화재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높은 배터리 충전율을 화재 원인 중 하나로 보고 신규설비 충전율 제한을 옥내 80%, 옥외 90%로 의무화하는 안전대책을 내놨다.
전력변환장치(PCS) 업계 관계자는 "충전율 조건을 안전하게 낮추면 경제성이 떨어져 사업을 하려는 사람이 없어질 것"이라며 "용량 제한이 아닌 다른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