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갈림길에 서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발판삼아 친환경적인 세상으로 나아가거나 오히려 그 이전 상태로 회귀할 수도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최근 '기후문제가 코로나19의 다음 희생자는 되지 말아야 한다'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을 기회로 삼아 정부와 기업, 개개인이 힘을 합쳐 환경 위기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정부는 친환경적인 회복이 이뤄지도록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코로나19 위기가 계속되자 세계 각국은 직접적인 부양책이나 추가재정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세계 최대 경제국들에서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극복하기 위해 평균적으로 GDP의 4%를 문제 해결을 위해 내놨다. 이탈리아,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30% 이상의 막대한 돈을 쏟아붓기도 했다.
대규모 경기부양 자금 동원은 코로나19로 곤두박질친 경제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인 문제를 회복할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BCG는 친환경 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하거나 국가 간에 협동해 문제를 해결하는 다자주의를 재설정하는 등 적극적인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BCG는 친환경 회복 프로그램을 추진할 것으로 주문했다.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지속 가능성을 최우선순위로 두고 대규모 재생 에너지, 건물 리노베이션 및 산업 효율성 등 배출량을 줄이면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데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는 얘기다. 14개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한 Ipsos MORI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5%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 프로그램에서 기후변화 문제를 우선순위에 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
또한 복잡한 일자리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는 대규모 실업 위기를 겪고 있다. 멈췄던 경제가 재가동하면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일터로 돌아가게 되는데 이 중 일부는 급격히 변화한 산업 분야로 돌아가게 된다. 정부는 노동시장의 이런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후 취약계층을 포용할 수 있는 '공정한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고 BCG는 강조했다. 이를 통해 노동인구가 '순배출 제로(net zero)' 경제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 일례로 낮은 에너지 가격과 투자 여력 제약으로 위협받을 수 있는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을 지원하는 게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코로나19나 기후변화 등 세계적인 재앙에 대처할 때 국가적 대응 전략을 통해 큰 효과를 달성할 수 있지만, 명백한 한계도 존재한다. 이 때문에 개별 국가들의 독자적인 대응보다는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런 이유로 BCG는 코로나19 위기에서 회복한 이후에 각국 정부는 COP26(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부터 보다 조율된 기후대응 모멘텀을 회복하기 위해 국제협력의 원칙과 제도를 재설정해야 한다.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글로벌 성장이 이어진 이후 코로나19는 기존의 비즈니스 방식을 뒤엎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존 사업 모델의 약점이 여과 없이 노출되면서 다양한 위험에 대한 회복력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줬다. 이에 BCG는 기업이 탄소와 비용을 감축해 회복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BCG는 정부뿐 아니라 기업에도 회복력을 구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라고 강조했다. 우선 에너지 효율을 우선순위에 두고, 재생 가능 에너지원으로 전환할 것을 주문했다. 이를 통해 향후 배출 규제에 대한 탄력성을 높일 수 있고 상당한 절감을 실현할 수도 있어서다.
또한 공급망 중단에 대응해 많은 기업이 공급망 구조를 재평가해 근거리 생산 아웃소싱인 니어쇼어링(nearshoring)을 추진하거나 물류 및 예측 개선을 위한 투명성을 증대시켰다. 또 추가 공급업체 검증을 통한 예비 공급업체 확보 등을 진행 중이다.
BCG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교훈을 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는 예고 없이 전 세계를 덮쳤지만, 기후 위기는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며 위기를 기회로 삼아 회복력을 키울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