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충남 당진제철소 사진현대제철](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143534676162.jpg)
1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정책으로 인해 올해 사업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 특히 이번 미국 관세 여파로 현지 공장 진출에 '빨간불'이 켜졌다.
앞서 현대제철은 미국에 철강 공장을 세워 현대차그룹이 올해 본격 가동하는 전기차 전용공장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 자동차 강판을 공급할 계획이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그룹의 철강 부문 계열사로, 생산 강판의 대부분을 현대차·기아에 공급하고 있다. 현대제철의 연간 매출 중 그룹사 비중은 30~35% 수준으로 파악된다. 자동차 강판만 고려하면 판매 비중은 82%까지 확대된다.
현대제철은 미국 현지 진출을 수익성 확대 기회로 봤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모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이 관세 부과의 사정권에 들며 사업 불확실성이 커졌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관세 리스크로 인한 원가 부담을 낮추기 위해 현대제철에 기존보다 저렴한 가격대의 철강재 공급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현대제철 노조는 이날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충남, 당진, 포항, 인천, 광주 등 일부 사업장에 대해 전면 파업을 선언하고 현대차그룹 본사에서 상경 투쟁을 진행했다. 회사 실적은 부진해도 현대차그룹의 완성차 실적에 크게 기여한 만큼 회사 실적과 무관하게 성과급을 지급해야 한다는게 노조 측 입장이다.
노조는 현재 △기본금 15만98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차량 구매 대출 시 2년간 1000만원 무이자 대출 지원 △정년퇴직자 대상 3년마다 20% 차량 할인 지원 등을 골자로 한 임단협 요구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일각에선 현대제철이 모회사에 의존하는 매출 구조를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철강경기 호황 속에선 현대차그룹에 의존한 현재의 현대제철 매출 구조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며 “가뜩이나 현대차그룹이 자동차 사업 비중을 줄이고 미래사업에 집중 투자를 예고한 만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 구조 개편이 불가피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