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석 해운협회 회장 "韓해운 경쟁력, 친환경·디지털·해기사 육성에 달려"

  • 28일 해양기자협회 기자간담회 발언

  • 미·중 관세전쟁 속 韓해운 경쟁력 강화 필수

사진
박정석 한국해운협회 회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한국해양기자협회와 가진 기자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전하고 있다. [사진=해양기자협회]
"한국 해운산업의 핵심 과제는 △친환경 △디지털 △우수 해기사 육성입니다. 해운협회는 올해 이 3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적극 협력해 제도개선을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박정석 한국해운협회 회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한국해양기자협회와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올해 해운업계는 혁신과 성장을 통한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야 할 때"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박 회장은 이날 미·중 간 관세전쟁으로 커진 글로벌 해운 불확실성 속 한국 해운산업의 성장을 위한 협회의 추진사업과 주요 이슈 대응 방안 등을 공유했다.

박 회장은 "글로벌 경제 대국인 미국이 해운산업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고 전 세계 해운시장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한국 역시 국가 수출입 화물의 99.7%를 해운이 담당하는 만큼, 수출입 물류 공급망 확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박 회장은 새정부에 △친환경·고효율의 국적 선대 확충 △친환경 전환 촉진을 위한 정책금융 및 세제 지원 확대 △우수 해기인력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을 적극 건의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해운협회는 수출입 물류 공급망 확보를 위해 현재의 필수선박 제도의 확대 및 개편을 통해 전략안보선대를 구축해, 평상시 수출입 물류의 안정적 운영과 비상시 주요 전략물자의 수송을 담당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국회와 적극 협력해 관련 법률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박 회장은 "여러 전문기관과 협의를 통해 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한국도 미국과 같이 전략안보선대를 최소 200척 이상은 확보해야 한다"며 "전략안보선대를 안정적으로 운영해 물류대란 등 비상 시 활용해 국가 운송 안보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협회는 국적 해기인력 육성 강화에도 앞장설 계획이다. 최근 해운업계 호황에 힘입어 해기사 수요가 폭증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해기사 인력이 턱없이 모자란 실정이기 때문이다.

해운협회에 따르면 오는 2030년 한국인 해기사 공급은 수요에 비해 2710명 부족할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부족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해 2040년에는 3605명, 2050년에는 4426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해운협회는 해기사 단기양성과정 활성화와 장기승선자 인센티브제도 개선, 선원소득 전액 비과세 추진 등을 통해 우수 해기사 육성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선박의 디지털 전환 필요성도 강조했다. 급변하는 해운 환경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선박 운항을 최적화하고, 선박운항관리 제고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해운협회는 △국제해사기구(IMO) 중기조치에 따른 중소선사 지원 대책 마련 △선박안전·보안제도 합리화 △해운홍보 강화 및 대국민 이미지 개선 등에 힘을 쏟을 계획이다. 

끝으로 박 회장은 "해운산업은 매우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며 "한국해운협회 회장으로서 우리 해운업계가 당면한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 시장에서 더욱 강한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