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글로벌 이동통신 표준단체 '3GPP' 의장단 2석 신규 배출

  • 하반기 6G 연구 본격 착수

왼쪽부터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라자벨 연구원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리샹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왼쪽부터)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라자벨 연구원,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리샹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이동통신 기술 표준 규격을 정립하는 단체 3GPP 내 기술분과에서 의장 1명과 부의장 1명을 배출했다.

삼성전자는 23일 자사 뉴스룸을 통해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의 라자벨 연구원이 '서비스·시스템 기술분과 3(SA WG3)'의 의장으로,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의 리샹 연구원이 '무선 접속망 기술분과 3(RAN WG3)'의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됐다고 밝혔다.

3GPP는 1998년에 설립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퀄컴, 애플,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등 전 세계 주요 국가의 이동통신 관련 기업과 단체들이 참여해 이동통신 표준 정립을 주도해 오고 있다.

3GPP에는 서비스·시스템(SA), 무선접속망(RAN), 핵심망·단말(CT) 등 총 3개의 기술표준그룹(TSG)이 있다. 기술표준그룹 산하에는 4∼6개씩 총 15개의 기술분과(WG)가 있다.

이 중 라자벨 연구원과 리샹 연구원이 각각 선임된 SA WG3는 이동통신망의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표준을 정의, RAN WG3는 기지국 연동 프로토콜 기술을 개발하는 분과다.

앞서 ㅈ난 3월에는 삼성리서치의 김윤선 마스터가 3GPP에서 물리계층, 무선 프로토콜, 주파수 활용 등 무선 기술 전 분야의 표준화를 총괄하는 무선접속망 기술표준그룹 총회(TSG RAN)의 의장으로 선임된 바 있다.

이로써 현재 삼성전자는 3GPP에서 의장 3석(SA WG2·SA WG3·TSG RAN), 부의장 5석(SA WG4·SA WG6·RAN WG2·RAN WG3·CT WG3)을 확보했다.

3GPP는 올 하반기부터 6세대 이동통신(6G)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삼성전자는 이동통신 전 영역에 걸쳐 기술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 만큼 6G 기술 표준화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업계 및 단체들과 협력할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의장으로 신규 선임된 SA WG3에서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해킹 등 다양한 유형의 공격에 대비한 보안 기술이나 이동통신망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기술 도입을 연구할 예정이다.

또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된 RAN WG3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지국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거나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기술 등을 연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6G에서 강조하고 있는 AI 활용, 보안 강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분과들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