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첨단 냉방기술로 AI 데이터센터 식힌다

  • LG사이언스파크에서 'HVAC 시스템' 공개

  • 2년 內 매출 1조·2030년 20조 달성 목표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부사장왼쪽이 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솔루션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냉각수 분배 장치를 살펴보는 모습 사진LG전자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 부사장(왼쪽)이 8일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AI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솔루션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냉각수 분배 장치)를 살펴보는 모습. [사진=LG전자]

"인공지능(AI) 시대 맞춤형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을 제공해 2030년에는 이 분야에서 매출 20조원을 달성하겠다."

LG전자가 최근 가정용·상업용을 넘어 산업용 공조기로 시장이 팽창하고 있는 HVAC 분야에 출사표를 던졌다. 올해 데이터센터향 냉각 솔루션 수주를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늘려 LG전자의 신사업 중심 축으로 삼겠다는 각오다.

LG전자는 8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ES사업본부의 사업 전략과 AI 데이터센터향 HVAC 솔루션을 소개했다.

간담회에 앞서 LG전자는 LG사이언스파크 내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이 적용된 현장을 국내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 거대한 건물 집합체인 LG사이언스파크 어느 곳에서도 일정한 수준의 선선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에어컨이 아닌 HVAC를 통한 최첨단 냉난방 기술을 적용했다.

LG전자는 액체냉각 솔루션 등 데이터센터향 HVAC, 초대형 냉방기 칠러 등 냉난방 공조 시스템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경쟁력 확보를 위해 △현지 완결형 밸류체인 구축 △비 하드웨어 분야 매출 비중 20%까지 확대 △인수를 통한 포트폴리오 강화를 진행 중이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부사장)은 "LG전자 제품이 대부분 예쁘고 팬시한 이미지인데 (오늘 소개할 HVAC는) 커다란 설비여서 낯설 수 있다"며 "그룹이 지향하는 'ABC'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ES사업본부가 큰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천명한 ABC 전략은 △인공지능(AI) △바이오 △클린테크를 뜻한다.

LG전자는 액체냉각 솔루션 등 데이터센터향 HVAC 분야에서 전년 대비 3배 이상 수주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CDU를 활용해 칩을 직접 냉각하는 액체냉각 솔루션 △칠러를 이용해 데이터센터 내부 온도를 낮추는 공기냉각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또 다른 병기인 초대형 냉방기 칠러는 데이터센터와 대형 건물 등 B2B 영역에서 각광받고 있다. 오는 2027년 글로벌 120억 달러 규모로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데, LG전자는 칠러 시장에서 2년 내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 본부장은 "HVAC은 질적 성장을 위한 B2B 영역의 핵심 동력으로 냉난방공조 사업 가속화를 위해 전진하고 있다"며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기 위해 코어테크 기술과 위닝 R&D 전략으로 액체냉각 솔루션을 연내 상용화하고, 내년부터 본격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