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실적 금융위기 전 수준 회복

  • 그러나 섣부른 기대 자제

기업 영업이익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상승세를 기록하며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자 본격적인 경기회복의 신호탄이 울린 것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증시 전문가들은 그러나 올해 꾸준한 기업이익 성장세는 각 글로벌 정부의 정책효과와 환율효과에 힘입은 측면이 크다며 섣부른 평가는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오는 4분기에는 환율 효과 감소 및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비용이 증가해 기업 이익 성장세는 재차 주춤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위기 이전 수준 영업이익 회복

18일 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사협의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634개사 중 비교가 가능한 570개 기업 3분기 실적을 조사한 결과 영업이익이 작년 3분기보다 32.55% 증가한 19조2718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도 163.30% 늘어난 19조274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1분기와 2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각각 -56.76%, -31.38% 감소했던 것과 비교하면 이번 증가세는 괄목할만 하다.

증시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각종 내수부양책 등으로 수요가 증가한데다 국내 기업의 선제적인 투자와 공격적인 마케팅, 달러 약세 등과 맞물려 시장점유율이 높아진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평가했다.

이선엽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기업 영업이익이 작년 수준 이상을 기록한 것은 경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의미"라며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정부가 적극적으로 펼친 경기부양책 덕에 소비가 극대화된 것도 기업이익 개선을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반면 4분기 실적이 3분기 수준을 넘어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봤다.

최근 원.달러 환율 급감으로 국내 수출기업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또 연말에 마케팅 비용이나 상여금 등 각종 비용 증가와 최근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가격 상승이 기업에 부담이다.

중국의 빠른 경기회복으로 국내 기업이 반사이익을 봤으나 중국 정부의 유동성 조절 등을 통한 '미세조정' 조짐이 보이는 것도 국내 기업이익에 부정적 요인으로 꼽혔다.

김세중 신영증권 연구원은 "환율 하락과 비용 상승 등으로 4분기 실적 기대치는 높지 않다"며 "3분기 호실적에도 주가가 따라주지 않고 있는 것은 4분기 실적 둔화 우려 탓이다"고 말했다.

◇10대 그룹 실적 개선...업종별 차별화

10대 그룹 계열사 실적은 전분기 대비 큰 폭으로 성장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은 126조618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과 순이익도 각각 43.94%, 29.05% 급등했다.

작년 동기 대비로도 매출액 2.46%, 영업이익 29.72%, 순이익 120.17% 증가한 수준이다.

기업별 실적은 그러나 업황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룹별 순이익 증가세는 철강업황 회복세에 힘입어 POSCO가 전분기 대비 158.70% 증가해 가장 컸다. 환율 효과에 따른 IT와 자동차 실적 호전에 삼성(55.08%), 현대차(32.24%)도 선전했다.

반면 환율과 신종플루 부담에 따라 항공운송업체인 한진이 적자를 유지하고 금호아시아나가 적자전환했다. 롯데(-20.36%), GS(-15.32%)도 순이익이 감소했다.

10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 493개사도 개선됐으나 10대 그룹보다 상대적인 증가폭은 적었다.

기타기업 매출액은 88조5354억원으로 2분기보다 4.35% 증가했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3.44%, 14.62% 늘었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