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15일 여야가 사활을 건 7·28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의 막이 오른다. 전국 8곳에서 실시, 미니총선으로 일컬어지는 이번 재보선 성적표는 지난 6·2 지방선거 이후 민심의 향배를 점칠 수 있는 바로미터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정국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기싸움을 벌여온 여야가 본격적인 승부를 펼치는 본격적인 장(場)이기도 하다.
다만 여야를 막론하고 각 정당의 고민이 짙다. 여야 모두 나름의 기대를 걸고 있지만 결과가 어떻게 이어질 지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야당 지방권력 견제론’을 선거 전략으로 내세웠다.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둔 야당 견제를 통해 힘의 균형을 얻겠다는 의지다. 중앙정부와 연결고리가 될 집권여당의 프리미엄으로 각 지역 발전을 꾀하겠다며 지지를 호소한다는 전략이다.
14일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뽑은 한나라당은 당장 전대 후유증 극복에 당청 관계 재정립, 재집권을 위한 당 쇄신 방안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그동안 전대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쇄신요구를 실천해야 하는 중차대한 과제를 안고 있어서다. 다만 앞길이 순탄할 것 같지는 않다.
이번 전대에서 1, 2위 자리자툼 속에 안상수, 홍준표 의원 간 상호비방전 과정에서 병역기피 의혹에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계인 정두언-이성헌 의원 간, 또 여성후보 간 진흙탕 싸움이 벌어진 만큼 남은 앙금 치유 또한 녹록치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4대강 심판론’을 다시 꺼내들었다. 이번 재보선을 지방선거에 이은 ‘제2의 정권심판의 장’으로 규정한 민주당은 이날 경기도 여주보 공사현장에서 최고위원-원내대표단-4대강특위 연석회의를 연 뒤 ‘물고기 떼죽음’ 현장을 시찰하며 4대강 이슈 띄우기에 집중했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지난 지방선거에서 국민은 4대강 사업을 치수사업으로 하라고 명령했지만 이 정권은 이를 거역하고 밀어붙이고 있다”며 “아직도 국민의 뜻을 무시하고 무능과 독선에 빠져있는 이 정권을 재보선을 통해 최종 심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주선 최고위원도 “국민 70∼80%가 중단하라고 했건만 4대강을 이렇게 파헤쳐 파괴하는 공사야말로 범범행위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4대강 사업을 한다고 했지만 불도저 일자리를 창출했지 사람 일자리 창출은 안됐다”며 사업중단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은평을 외에도 경인운하가 지나가는 인천 계양을, 남한강에 인접한 충북 충주와 강원 원주를 4대강 심판지역으로 보고 하나로 묶어 공략할 방침이다.
다만 민주당의 필승 카드인 야권연대가 갈수록 꼬여만 가고 있다.
특히 이번 재보선의 최대 격전지인 서울 은평을에서 한나라당 이재오 전 국민권익위원장에 맞설 전략을 야권연대에서 찾으려 했지만 지난 13일 후보 등록에 앞서 이마저도 무산됐기 때문이다. 후보 단일화를 놓고 각 야당들의 기싸움이 팽팽하게 이어진 끝에 승부를 가리지 못해서다.
그동안 민주당이 경쟁방식을 통해 ‘이기는 연대’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 데 대해 국민참여당, 민주노동당 등 다른 야당은 민주당이 기득권을 버리고 ‘협상타결‘에 나서야 한다고 맞섰다. 양측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린 것이다.
지난 6·2 지방선거에 이어 연대 효험을 기대했던 민주당의 고민이 깊어지는 대목이다. 앞서 영입에 공을 들인 신경민 MBC 선임기자의 불출마 선언 뒤 우려에 빠진 민주당에 시름을 더한다.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