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강남구청과 은마아파트 재건축 추진위원회에 따르면 강남구는 은마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안을 확정, 오는 18일부터 주민공람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지만 주민들은 이를 거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은마아파트 추진위 관계자는 “강남구청이 마련한 정비사업 계획안은 장기전세주택 비중이 너무 높고 주민들의 수익성이 낮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강남구가 마련한 계획안은 기존 아파트 4424가구를 5598가구로 재건축하는 안이다. 기존 주택의 전용면적에서 10%까지 늘려 재건축하는 1대 1이 아닌 소형주택 건립 의무비율을 적용한 일반 재건축 방식을 적용했다.
이 계획대로라면 전체 건립규모에서 60㎡(이하 전용면적) 이하 아파트가 20%, 85㎡ 이하 40%, 85㎡ 초과 40%를 지어야 한다. 전체 주택형별 규모는 △39㎡ 1125가구 △83㎡ 2703가구 △101㎡ 1770가구로 재건축된다. 39㎡ 가운데 1008가구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으로 건설된다.
용적률 295.7%(기존 185%)가 적용되면서 늘어난 160여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하지만 추진위는 시프트 물량이 전체의 18%를 차지하면서 일반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들게 돼 반발을 하고 있다. 이 경우 조합원 분담금도 당연히 증가하게 된다.
추진위는 또 단지내 폭 15m 공용도로 조성토록 한 것에 대해서도 반발하고 있다. 현행 주택법상 8m이상의 도시계획도로로 분리되는 경우 별개의 단지로 규정하고 있어 관리비 증가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추진위는 강남구가 마련한 주민공람을 거부하는 대신 상업지구 상향,역세권 개발, 종 상향 등의 사업방식으로 추진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주민들의 강한 반발로 강남구도 한발 물러선 상태다. 강남구는 결국 기존 일반 재건축안 외에 조합원들이 기존 주택 면적의 5~7% 가량 넓히는 것을 주로 한 1대 1 재건축안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또 이달 18일까지 정비계획안을 다시 만들어 추진위와 상의해 주민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