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현재 새누리당은 193명, 민주통합당은 202명의 공천자를 확정, 각각 지역구 의원의 80% 가까이 공천을 마쳤다.
전국 246개 지역구를 대상으로 공천 심사와 경선, 전략공천 등의 과정을 거쳐 선정된 이번 공천과정에서 각 당은 이미 공천한 후보들에 대한 논란에 휩싸이며 공정 공천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앞서 정치권에 대한 민심이반을 이유로 여야 모두 입을 모아 정치권의 쇄신을 외쳤음에도 불구, 여야 모두 공천과정에 각종 논란에 휩싸이며 비판을 받아왔던 기존 정치문화를 그대로 답습했다는 지적이다.
새누리당은 강남벨트를 중심으로 공천논란에 휩싸여 뒤늦게 공천을 취소하며 '인물난'의 실상을 여실히 보여줬다.
강남갑과 강남을에 각각 공천했던 박상일 한국벤처기업협회 부회장과 이영조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대표가 논란에 휩싸이며 부랴부랴 공천에서 취소된 것.
그러나 이 대표를 공천 대상자로 추천한 것으로 알려진 권영세 사무총장은 지난 13일까지 "과거 번역문제에 대해 문제제기가 있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그 부분만 평가한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평가해야 하니까 좋은 분이라고 생각해서 공천했다"며 그를 감싸는 모습을 보였고, 정 공천위원장 역시 공천 취소 직전까지 공천 번복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공천위의 한 관계자는 이 대표의 공천 결정 당시 당초 대구에 공천을 신청했던 그를 강남을에 공천한 이유에 대해 "민주통합당 후보로 나선 정동영 후보를 상대로 이념대결을 펼칠 수 있는 인물을 공천한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민주통합당의 공천 역시 마지막까지 기존 인사들의 '돌려막기 공천'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민주당 공심위는 이날 새누리당의 텃밭인 강남벨트에 천정배(송파을)·전현희(송파갑) 의원을 공천했다. 또 동대문갑에 안규백 의원을 투입했다.
천 의원과 전 의원은 각각 동작을과 강남을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된 것이고, 안 의원 역시 경기 군포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이학영 전 YMCA 사무처장에게 자리를 빼앗긴 모습이다.
공천위는 이와 함께 도덕성 논란을 빚었던 이화영 전 의원(강화 동해·삼척)과 전혜숙(서울 광진구갑) 의원의 공천을 취소했지만 불법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유죄가 확정된 신계륜 전 의원의 성북을 공천 결정은 그대로 유지했다.
아울러 새 인물이 아닌 기존 노무현계 인사를 채워넣으며 새누리당과 함께 이념공천에 대한 비판도 피할 수 없게 됐다.
현재까지 이뤄진 민주당 공천 202명 중 과반수인 100여명에 가까운 전·현직 의원 및 정당인 출신 중 절반 이상이 노무현계 출신이고, 구(舊) 민주계 출신은 13명가량에 불과한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새누리당은 뒤늦게 공천을 취소했지만 결국 자신의 '텃밭'인 강남벨트에 '이념공천'을 하며 스스로의 한계를 드러냈고, 민주당 역시 기존 의원들의 인재풀을 벗어나지 못하는 '구태공천'을 벗어나지 못했다"며 "여야 모두 앞다퉈 정치쇄신과 공천쇄신을 주장했던 모습은 결국 표를 얻기 위한 '쇼'에 불과했다는 방증"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