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실시한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와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1800가구, 1만 338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결혼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미혼남성은 69.8%, 미혼여성은 56.7%로 2009년에 비해 모두 감소했다.
결혼 기피와 지연의 가장 큰 이유로 남성 10명 중 8명(87.8%)은 고용 불안정을, 여성 10명 중 8명(86.3%)은 결혼비용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남성의 40.4%, 여성의 19.4%가 경제적 이유로 결혼을 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낮은 소득, 불안한 직장, 과도한 주거·결혼 비용 등이 결혼 가치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10~2012년 사이 결혼한 신혼 부부들의 결혼비용도 공개됐다.
이 기간 남성은 평균 7545만원, 여성은 5226만원을 지출했다. 남성의 81.8%는 신혼 주택 비용을, 여성의 44.8%는 신혼살림을 가장 부담스러운 항목으로 들었다. 이중 결혼당사자 부담 비율은 각각 38.6%, 41.5%에 불과했다.
이혼에 대한 의식도 변하고 있다.
기혼여성의 28.4%가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겠다고 응답해 2009년(20.5%)에 비해 높아졌다. 이혼사유로는 경제문제의 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40대 이상 부인은 경제문제가 가장 큰 이혼원인이었다.
자녀가 취업할 때까지 부모가 양육을 책임져야 한다는 견해는 증가했다. 자녀의 월평균 양육비 부담도 2009년 100만원에서 118만원으로 18만원 늘었다.
자녀 1명이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22년간 들어가는 양육비는 총 3억 896만 4000원으로 추정돼, 같은 기간 400만원 넘게 증가했다.
한편 4월 중에는 민간전문가를 포함한 범정부 출산·육아지원 종합대책 수립추진단을 구성하해 올 하반기에 제2차 기본계획을 보완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본격적인 출산율 회복을 위하여 주택·노동·의료 등 경제·사회 각 분야가 출산 친화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확대한다.
또 임신·출산에 대한 경제적 지원 강화 등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인 '행복한 임신과 출산'을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