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은행권이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창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에만 400억원 이상의 청년창업 지원자금을 출연한 4대 시중은행은 올해도 대규모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은행들은 최근 창업지원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하고, 금리우대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국민은행은 창조형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예비 기술창업자 전용 대출상품인 ‘KB 프리 스타트 기술보증부대출’을 판매하고 있다.
이 상품은 우수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지원함으로써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기업당 최대 5억원의 운전 및 시설자금을 지원한다.
우리은행은 ▲2030청년창업대출 ▲청년창업특례보증 ▲우리청년드림대출 ▲우리청년전용창업대출 등 총 4개의 창업지원 대출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2030 청년창업대출’의 경우 서울시가 운영하는 ‘2030 청년창업 프로젝트’ 선발기업을 지원하는 상품으로, 기업당 최대 1500만원의 운전자금을 지원한다.
신한은행도 ▲청년창업지원대출 ▲신한챌린저신설법인대출 ▲청년드림대출 등의 대출상품으로 창업을 돕고 있다.
설립한 지 5년 미만의 중소법인을 대상으로 한 ‘신한챌린저신설법인대출’의 지원 한도는 3000억원이며, 0.5% 금리우대 혜택을 적용한다.
은행권은 이미 지난해 5월부터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을 설립해 청년 창업가를 발굴 및 육성해왔다.
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 국민은행, 외환은행, 씨티은행, 수출입은행, 수협중앙회,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정책금융공사 등 20개 기관은 오는 2015년까지 3년간 5000억원의 청년창업 지원금을 출연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1000억원을 출연해 보증지원(589억원), 투자지원(55억원), 창업센터 운영(34억5000만원) 등에 활용했다.
4대 시중은행의 출연금은 신한은행(112억원), 국민은행(109억원), 우리은행(104억원), 하나은행(87억원) 등 총 412억원이었다.
재단은 올해도 지원자금을 출연해 창업을 위한 교육 및 훈련 기반을 구축하고, 보증 및 직·간접 투자에 사용할 방침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서 일자리 창출 부진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역량 있는 창업가를 육성하는 것이야 말로 우리 사회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은행권은 향후 청년층의 창업을 촉진하고, 시장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금융지원 방안을 적극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