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도시농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계획 '552개+α'를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구상은 △도시농업 일자리 기반구축 △텃밭조성을 통한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 △도시농업 교육 및 힐링프로그램 운영으로 일자리 창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등 민간참여 확대로 직·간접 일자리 확대 등이 주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학교농장 관리인(65명), 원예치료사(3명), 양봉 관리인(8명), 민간단체 도시농업활동가(50명), 농부의 시장 운영자(406명), 도시농업 주민참여 예산사업(20명) 등으로 나뉜다.
시는 도시농부학교, 도시농업전문가 양성교육 등을 운영해 시민 누구나 도시농부가 될 수 있도록 돕는다.
올해 약 60회의 도시농부학교를 열어 예비농부 4000명을 기른다. 이들은 옥상농원 텃밭채소 가꾸기, 친환경 농자재 만들기, 실내원예 등 초보 단계에서 필요한 이론과 현장실습으로 기초를 다진다.
100명의 도시농업전문가는 양성교육을 거쳐 배출된다. 실제 농사에 필요한 전문기술을 익혀 수료 후에는 자치구 도시농부학교, 가정원예교육, 어린이 자연체험학교 등 현장에서 텃밭지도사, 스쿨팜강사, 원예치료사 등으로 일할 수 있다.
서울시는 올 한해 유휴지 4만5800㎡ 규모를 텃밭으로 만들어 어르신과 취약계층을 텃밭관리 및 운영, 시민 영농지도 등을 맡는 텃밭관리인에 배치한다.
국·공유지, 사유지 등 도심 속 유휴지 4만1250㎡(2500구획)를 자투리땅 텃밭으로 조성하고 다중이용시설 65개소의 쓰지 않는 옥상공간(4550㎡)도 활용할 계획이다.
도시농업에 관한 강좌, 힐링 프로그램을 확대해 스쿨팜강사, 원예치료사 등 신규 일자리를 발굴한다.
기존 관 주도의 공공일자리 제공에서 벗어나 도시농업단체 등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창업에 필요한 교육 시행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게 된다.
이 분야의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비영리 민간단체의 텃밭조성 및 운영, 교육체험 프로그램, 홍보 등 다양한 활동 지원으로 일자리와 연결시킨다.
더불어 서울시와 25개 자치구는 관련 문화행사를 적극 개최한다. 일례로 농부의 시장을 열어 기획자, 장터 진행인력 등에게 일자리를 준다.
장기적으로는 관련 산업도 적극 육성한다. 비료, 농기구, 종묘 등 농자재의 활발한 유통 구조로 해당 판매업, 전문종자뱅크, 모종생산 분야 일자리도 함께 키운다.
문홍선 시 산업경제정책관은 "서울형 신산업으로 도시농업을 활성화시켜 다양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발굴하겠다"며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통해 일시적이 아닌 안정적 민간일자리로 나아가도록 징검다리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