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는 2024년 우주인 달 착륙 등을 준비하기 위해 내년부터 민간 달착륙선 9기 이상을 차례로 발사해 달 표면에서의 과학 탐사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의 민간 달착륙선 본체는 미국기업이 제작하고, 탑재체는 NASA 주도로 미국기업 및 국제협력을 통해 제작될 예정이다.
합의문이 체결되면 우선 NASA 민간 달착륙선 사업의 과학탑재체 공동연구와 활용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 이 탑재체는 주로 달 표면과 주변 환경을 심층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합의문으로 인해 구성되는 실무그룹에서는 향후 한국과 NASA 간의 달 궤도에서의 과학연구 협력 논의까지 진행할 전망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번 NASA 민간 달착륙선 협력은 우리나라의 우주탐사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정부는 이번 달착륙선 협력을 시작으로 향후 전개될 국제 공동 우주탐사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하고, 우주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천문연구원, 미국 국립항공우주국(NASA)이 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정부과천청사 과기정통부 생각나눔방에서 '달착륙선 탑재체 공동개발을 위한 합의문 체결식' 을 개최했다. (왼쪽부터)벤 부시 미국 국립항공우주국(NASA) 탐사분야 수석연구원, 최원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사진=과기정통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