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후 전북 군산시 코로나19 백신접종용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시설인 풍림파마텍에서 주사기 생산라인을 시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전북 군산 소재의 LDS 백신주사기 생산 업체인 ㈜풍림파마텍을 방문한 자리에서 “백신 접종의 필수품인 주사기의 중요성과 우리 제품의 우수성을 국민들께 알려드리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른바 ‘쥐어짜기 주사기’로 불리는 LDS 백신주사기는 주사기에 남게 되는 백신 잔량을 최소화해 백신 1병으로 6명까지 접종할 수 있다. 일반 주사기는 1병으로 5명 접종이 가능하다. 주사기의 효율을 고도화해 백신을 20% 아끼게 되고, 결국 백신 20%를 더 생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두는 셈이다.
문 대통령은 “지금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백신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백신 1병당 1명을 더 접종할 수 있는 최소잔여형 백신주사기에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면서 “글로벌 제약회사와 의료선진국들까지도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고 설명했다.
㈜풍림파마텍은 의료기기 수입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다가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혁신으로 의료기기 국산화를 이뤄왔으며,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그간 생산하지 않았던 LDS 백신주사기에 도전해 성공한 중소기업이다.
미국과 유럽 방역당국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고품질을 목표로 개발, 미국 유수의 백신 제약회사가 시제품만 보고도 구매협상을 진행했으며 세계 20여개국에서 제품 구매요청이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례는 ㈜풍림파마텍의 혁신 역량에 더해 대기업의 상생 협력과 정부 지원으로 만들어진 민관 협력의 또 다른 성공 모델로써 현 정부에서 처음 시작된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통해 지원됐다. 풍림파마텍은 국민들을 위해 12만7000개의 주사기를 무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과 정부의 지원은 그동안 진단키트, 마스크, 방진복 등 방역제품 확보와 해외 수출의 원동력이 됐다”면서 “위기 속에서 싹튼 상생의 힘이,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우리만의 성과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정부는 스마트공장 지원,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과 혁신 조달체계 마련 등을 통해 우리 중소기업의 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혁신기술을 알아본 삼성전자와 정부의 도움으로 시제품 제작에서 생산까지 최소 1년이 소요되는 과정을 불과 1달 만에 완료했다.
올 2월부터 월 1000만개 생산체계를 갖췄고, 신규공장을 곧 준공해 3월부터는 최대 월 2000만개를 양산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체계를 완성할 예정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사용승인을 요청할때도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등과 협력했다.
또한 LDS 주사기의 신속한 해외 수출을 위해 식약처에서는 한국의료기기 안전정보원, 의료기기 시험검사기관과 협업해 해외 인증을 위한 시험검사 컨설팅 등을 지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중소기업들의 성과도 훌륭하지만, 그 과정은 더 값지다”면서 “삼성은 최소잔여형 주사기 수요가 늘어날 것을 먼저 예측했고, 풍림파마텍의 기술력을 인정해 생산라인의 자동화와 금형기술을 지원하는 등 전방위적인 협력으로 우수한 제품의 양산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으로 선정해 스마트공장 건설 자금을 지원하고 제품 승인 시간을 단축했다”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 협력과 정부의 지원은 그동안 진단키트, 마스크, 방진복 등 방역제품 확보와 해외 수출의 원동력이 됐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충분한 물량의 백신과 주사기를 확보했고, 예방접종 계획도 빈틈없이 마련했다”면서 “오는 26일부터 시작되는 코로나 백신 예방접종도 반드시 성공으로 이끌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