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우 NH농협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이번 주 공식 선임된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농협중앙회를 정점으로 하는 특수한 지배구조를 문제 삼았던 만큼 이 내정자 앞에는 지배구조 개선과 내부통제 강화라는 임무가 놓여 있다. 금융 환경에 맞춰 주요 계열사인 NH농협은행의 디지털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점 또한 주요 과제도 부각되고 있다.
2일 농협금융지주에 따르면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달 24일 이 내정자에 대한 취업 심사를 마쳤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취업 심사가 통과되면 3일 열리는 임시주총에서 최종 선임 절차를 밟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내정자 취임식은 별도로 개최하지 않고 취임사로 대체될 예정이다.
출범을 앞둔 '이찬우호(號)' 앞에 놓인 가장 큰 숙제로는 지배구조 개선과 내부통제 강화가 꼽힌다. 지난해에만 농협은행에서 10억원 이상 금융사고가 총 6건(450억원대) 발생했고, 사고 횟수로는 5대 은행 중 가장 많다. 금융당국은 금융사고의 근본적 원인으로 농협중앙회의 인사·경영 개입을 지목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농협금융지주에 농협중앙회의 부당한 경영·인사 개입을 막기 위한 제도를 마련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이 내정자 경력은 강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재정경제부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한 이 내정자는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차관보 등 정통 경제 관료의 길을 걸었다. 직전에는 금감원 수석부원장을 지내 당국과 긴밀한 소통도 가능하다. 이 내정자가 금융당국과 관계 개선에 일정 부분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이 내정자가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 체제에서 낙점된 만큼 인사권을 두고 강 회장과 이견을 드러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탄핵 정국으로 금융당국의 힘이 약화하며 강 회장의 간섭에 제동을 걸기 어려운 환경이 조성된 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