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중국 10‰ 관세가 발표된 4일(현지시각) 중국도 보복관세와 함께 기업 제재, 수출통제, 반독점 조사 등과 같은 반격 조치를 우르르 쏟아내며 맞대응했다.
중국 상무부와 외교부, 주미 중국대사관 등에서는 이날 일제히 성명을 내고 "미국의 관세 인상 조치는 성질이 아주 나쁘다"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강력한 불만을 표시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중국 수출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한 것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으로, 성질이 아주 나쁜 전형적인 일방주의와 무역 보호주의 행위"라며 "중국은 이러한 조치에 단호히 반대하고 미국이 잘못된 관행을 즉시 바로잡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특히 대변인은 "미국의 관행은 규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 체계는 물론 중국·미국의 경제 무역 협력의 기반을 훼손하고, 글로벌 산업 사슬과 공급망의 안정을 파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변인은 "중국은 다자간 무역 체제의 확고한 지지자이자 중요한 기여자로, 다른 WTO 회원국과 협력해 일방주의와 무역 보호주의같은 다자간 무역 체제가 맞닥뜨린 도전에 함께 대응하고 국제 무역의 질서 있고 안정적인 발전을 유지하길 바란다"고도 밝혔다.
이날 주미 중국대사관도 대변인 성명을 내고 미국의 관세 공격에 맞선 중국의 대응은 "정당하고 합리적"임을 강조했다.
대변인은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빌미로 미국에 수출되는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했다"며 "중국이 관련 법률 및 규정과 국제법 기본 원칙에 따라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한 것은 완전히 정당하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대변인은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고 철저한 마약 통제 정책을 갖춘 국가 중 하나"라며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중국은 미국이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원을 제공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펜타닐은 미국의 문제로, 국내 마약 수요를 줄이고 법 집행 기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미국의 펜타닐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며 "미국은 펜타닐 문제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보고 처리해야 하며, 중국의 호의를 소중히 여겨야지, 관세로 중국을 위협해서는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중국은 미국이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고, 중·미간 마약 퇴치 협력이라는 힘들게 이뤄낸 좋은 상황을 유지하며, 양국 관계의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전했다.
중국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국을 펜타닐 원산지로 지목하며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에 대응해 즉각 보복 조치에 나섰다.
중국은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고 텅스텐·몰리브덴 등 원료의 수출을 통제하기로 했다. 또 미국 빅테크 구글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조사도 개시했다. 아울러 타미힐피거와 캘빈클라인 등 유명 브랜드들을 산하에 둔 패션 기업 PVH 그룹과 생명공학 업체 일루미나 등 2개 미국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업체' 명단, 이른 바 블랙리스트에도 올리고, 미국의 10% 대중 추가 관세 조치를 WTO에 제소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