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 트럼프 2기 '관세전쟁' 대응 주력해야…"국익 우선해야"

  • "미국의 조기 협상 압박…일본처럼 '숨 고르기 전략' 필요"

그래픽아주경제DB
[그래픽=아주경제DB]

조기 대선으로 출범한 새 정부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을 우선 과제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경제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적인 고율 관세가 철저히 미국 국익을 반영한 조치인 만큼 성급하게 협상에 나서기보다 장기적 전략을 수립하고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한다.

16일 정치권과 외교가에 따르면 미국은 다음 주 한국과 관세 협상에 착수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지난 14일(현지시간)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먼저 협상하는 나라가 유리하다"며 한국을 향해 조속한 협상을 촉구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미국의 한국 압박 시점이 미묘하다며 신중하게 협상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미국과 협상을 앞둔 일본이 "빠른 협상 마무리는 아니다"며 속도 조절에 나서자 미국이 다음 협상 파트너로 한국을 지목했다는 이유에서다. 게다가 미국 국무부의 아시아 순방에서는 한국을 배제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역시 일본처럼 숨 고르기를 하며 '전략적 외교'를 준비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지난 14일 교도통신과 일본 NHK 방송에 "트럼프 대통령 주장 뒤에 무엇이 있는지, 그의 견해 뒤에 숨은 논리와 감정적 요소에 대해 모두 이해해야 한다"며 협상 방식을 정밀하게 분석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반면 중국처럼 '보복관세'에 맞서는 방식은 위험 요소가 크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중국은 지난 8일 미국의 고율 관세에 맞서 모든 미국산 제품에 34% 보복관세를 부과했는데 이에 미국이 추가 50% 관세 부과를 경고하며 강경 대응하고 있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미국은 한국·일본·중국이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자유무역으로 연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한국과 하루라도 빨리 협상을 마무리하려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정부는 철저히 손익을 따져가며 협상에 응해야 한다. 차기 정부 출범 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라도 협상에 나서 경제 불확실성을 해소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