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 영덕 노물리에서 전화위복버스 첫 현장 회의 열어

  • 산불 피해 복구와 지역 재건, 대한민국의 새로운 이정표 만들 것

  • 영덕 노물리 마을 재건사업...마리나항 개발 등과 연계

27일 이철우 도지사가 초대형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영덕 노물리 마을에서 ‘경상북도 전화위복戰火爲福버스’ 첫 현장 회의를 열었다 사진경상북도
27일, 이철우 도지사가 초대형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영덕 노물리 마을에서 ‘경상북도 전화위복(戰火爲福)버스’ 첫 현장 회의를 열었다. [사진=경상북도]
경상북도는 27일 초대형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영덕 노물리 마을에서 이철우 도지사가 직접 주재한 ‘경상북도 전화위복(戰火爲福)버스’ 첫 현장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현장 회의에는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한 김광열 영덕군수, 김성호 영덕군의회 의장, 황재철 도의회 의원, 군의원, 경북도 및 영덕군 간부 공무원, 김재현 노물리 이장과 주민 10여 명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현장 회의는 영덕 산불 피해 복구 및 노물리 마을 재건 방안을 모색하고,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해 앞으로 경북도와 영덕군의 역할과 후속 대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회의는 노물리 마을 재건 계획 보고, 영덕군 산불 피해 복구 계획 보고, 주민 의견 수렴 및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영덕 노물리 마을 재건계획 보고에서는 산불 피해로 비탈면 지반 침식 및 붕괴, 축대 균열 등 주택 신축은 어려운 상황으로 복구를 넘어 새롭게 노물리 마을 재건 사업’을 추진하며 블루로드 테마마을, 전망대공원 조성, 마을 공공시설 확충 및 재정비, 마리나항 개발 등과 연계를 통해 영덕 노물리 마을을 명품 해양관광 마을로 재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산불 피해 복구 및 지역 재건을 위한 특별법 제정, 정부 추경 및 국비 예산 특별 지원 건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가장 시급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마련과 여름철 집중 호우, 산사태 등 2차 피해 방지, 산불피해주민 생계 위기 긴급 공공형 일자리 사업 지원 등 산불 피해 복구와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문성준 영덕부군수는 임시 주거 시설 및 구호 지원 추진 상황, 농·어업 및 산림피해상황에 대해 보고하고, 4월 말까지 산불 피해 복구 계획을 확정하고, 5월 말까지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설치하는 한편, 이재민 생활안정화사업 및 공공·사유시설 복구 등 산불피해복구를 위한 예산 확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산불을 끄자 마자 임시 주거 시설 마련을 위해 전쟁을 치르듯이 하고 있지만, 아직 입주가 다 이뤄지지 않아 매우 안타깝고 미안하게 생각한다”면서 “불을 이기고 뉴딜 경북을 실현하기 위한 확고한 의지를 담아, 현장 목소리를 듣는 전화위복(戰火爲福) 버스 첫 회의를 이곳 노물리 마을에서 열어 영덕군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대책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우선 과제로 임시 주택을 최대한 빨리 공급하고, 특별법 제정 추진, 정부 추경 예산 대응, 영농지원, 장마·홍수 등 2차 피해 방지, 공공형 일자리 사업을 즉각 시행하겠다”면서 “특히, 영덕 노물리 마을을 세계적인 휴양·관광지와 같이 마리나항 개발 등과 연계해 명품 해양관광 마을로 재건해 재난 극복 국가 선도 모델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