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뿐 아니라 보다 큰 무역 협상들을 추진하고 있어 백악관의 무역 합의 발표가 늦어지고 있다고 미국 보수 성향 매체 폭스비지니스가 미 정부 소식통 2명을 인용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이러한 무역 합의들이 관세를 낮추는 것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폭스비즈니스는 "일본, 베트남, 영국, 한국, 유럽연합(EU)이 트럼프 대통령과 그의 무역 팀에서 가장 자주 언급되는 나라들"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백악관은 지난주 외국 통상 장관들로부터 무역 협상 관련 제안서 18개를 받았다고 밝혔지만, 제안서를 보낸 나라들에 대해 자세히 밝히지는 않았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지난 22일 "많은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 무역 팀에 전달된 18개의 제안서가 있다. 이는 각국이 우리 정부에 제안한 서면 제안"이라고 말한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56개국과 유럽연합(EU)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의 발효를 지난 9일부터 90일 유예하고 교역국과 협상에 돌입했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이날 CNBC와 인터뷰에서 "나는 한국과의 협상이 매우 잘 되고 있다고 말해왔다"면서 "나는 일본과도 매우 실질적인 협상을 했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나는 (미국과) 첫 번째로 무역 합의를 하는 나라 중 하나가 인도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한다"고도 했다.
또한 베선트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중요 무역 상대국 15∼18개국과의 합의에 "긴밀히 관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맞불 관세를 부과한) 중국은 옆으로 치울 것이고, 그런 다음 우리는 많은 다른 나라들과 매우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며 "많은 아시아 국가가 최고 수준의 방안을 가지고 왔고, 이 '공정성의 문제'를 풀려고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여파가 더욱 뚜렷해짐에 따라 일부 미국 수입품에 대한 125% 관세 면제 여부를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 태스크포스는 관세 면제 대상 품목 목록을 수집하고 있으며, 기업들에 자체적으로 면제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