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관세전쟁에 韓기업 이중고… 中 진출 전략 세워야"

  • 중국 통상환경 변화와 대응전략 세미나

  • "한·중 FTA 등 통상협정 적극 활용해야"

한국무역협회KITA FTA·통상종합지원센터가 29일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한 2025 중국 통상환경 변화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주원석 FTA·통상종합지원센터 단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무협
한국무역협회(KITA) FTA·통상종합지원센터가 29일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한 '2025 중국 통상환경 변화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주원석 FTA·통상종합지원센터 단장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무협]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공급망 재편이 불가피해지면서 중국 진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원석 FTA·통상종합지원센터 단장은 29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열린 '2025 중국 통상환경 변화와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최근 글로벌 관세전쟁이 심화되면서 우리 기업들은 공급망 재편과 관세비용 증가라는 이중고에 직면하고 있다"며 "중국 시장 변화에 맞춰 다양한 진출 전략을 세우고 필요시 한·중 FTA 등 통상협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는 미국의 관세조치 등에 따른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시장동향을 점검하고, 우리 기업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승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은 미·중 무역갈등과 내수 경기침체 등 대내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소비진작, 첨단산업육성, 기술자립 정책 및 고령인구·골드미스 등 신흥 소비계층 부상에 따른 유망산업을 소개했다.

김현준 삼일 PwC 이사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주요국의 대응 등을 분석하며 우리 기업은 거래구조 조정, 생산라인 변경, 신규 법인설립 및 인수합병(M&A)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금선 한국무역협회 차이나데스크 관세사는 한·중 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APTA) 등 우리나라가 중국과 체결한 무역협정의 협정세율과 원산지 결정기준을 비교 검토해 품목별로 가장 유리한 협정을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