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3사, 1분기 차입금 49조…지난해 말 대비 7조원↑

  • 배터리 수요 감소에 가동률도 '뚝'

지난 5월 7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코엑스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트라가 공동주최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5 전시회에서 참관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5월 7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전시컨벤션센터에서 코엑스와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트라가 공동주최로 열린 '인터배터리 유럽 2025' 전시회에서 참관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배터리 업계의 보릿고개가 길어지는 모습이다.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 지속으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차입금이 올해 1분기에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각 사가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배터리 3사의 차입금 규모는 49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기준 42조5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7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배터리 3사는 차입금을 늘려 북미·유럽을 포함한 해외 공장 증설, 기술 투자 등에 재원을 쏟았다. 차입금 증가로 재무 부담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캐즘 이후 승기를 잡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설명이다.

1분기 기준 기업별 차입금 규모는 LG에너지솔루션 17조6126억원, 삼성SDI 11조6155억원, SK온 20조3907억원이다. 이 가운데 SK온은 작년 말(15조5997억원)보다 차입금이 4조7910억원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이는 1분기에 미국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른 정부대여금이 6조3304억원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면 단기 차입금은 1개 분기 만에 2조3925억원가량 줄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입금이 2조2220억원 늘었는데 1분기에 원화 회사채 1조6000억원 등을 조달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삼성SDI는 377억원 수준으로 차입금 증가 폭이 가장 작았다. 자금조달 방식으로 차입금에 포함되는 회사채가 아닌 2조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향후 회사채를 발행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투자와 별개로 배터리 3사 가동률은 지속 하락세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평균 가동률은 2023년(69.3%), 지난해(57.8%)에 이어 올해 1분기 51.1%를 기록했다.

삼성SDI의 소형 전지 가동률은 지난해 58%에서 올해 1분기 32%로 떨어졌으며, 주력 제품인 중대형 전지의 경우 분기보고서에 공개되진 않지만 소형 전지와 마찬가지로 가동률이 하락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SK온 역시 올해 1분기 지난해 같은 43.6%의 가동률을 유지했으나, 이 기간 생산 실적은 1억2149만 셀에서 3181만 셀로 대폭 하락했다. 캐즘 장기화로 인한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며 생긴 결과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