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또 다시 ‘쇄신풍’… 방안 두고 내홍 조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11-06 18:1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 한나라당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로 쇄신의 바람에 휩쓸리고 있다. 지난 4·27 재보선 완패 이후 올 들어 벌써 2번째 쇄신풍이다.

지난 5월 중폭의 쇄신에도 위기가 해소되지 않자 당내 혁신파는 청와대의 책임론을 내밀고 있는 반면, 당 지도부는 자체 방안 마련에 나서는 등 쇄신안을 두고 내홍 조짐에 빠졌다.

6일 여권에 따르면 한나라당은 서울시장 패배 이후 △‘대통령 사과’ 등 혁신파의 쇄신 요구 △‘버핏세’(부유세) 도입 검토 논란 △여의도 중앙당사 폐지 및 조직혁신 △공천개혁을 골자로 하는 지도부 쇄신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처리 시기 등 당 쇄신안을 두고 전방위 충돌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구상찬·김성식·김세연·신성범·정태근 의원 등 혁신파 의원 5인은 이날 여권 전체가 위기에 처한 현 상황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사과를 비롯해 ‘대통령의 5대 쇄신’을 공식 촉구한 뒤 관련 서한을 청와대에 전달하기로 했다. 서한에는 20여명의 의원이 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내부에선 혁신파 의원 상당수가 주요 당직을 맡고 있어 당 지도부와 혁신파의 ‘공조’ 가능성이 점쳐진다. 김정권 사무총장과 혁신파는 지난 4일 쇄신 연찬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일단 한나라당 혁신그룹과 지도부는 손발을 맞춰 성장 중심 정책기조의 대대적 전환을 요구할 전망이다.

여권 관계자가 6일 부유세의 일종으로 해석되는 '버핏세' 도입 추진을 거론한데 이어 대기업 규제의 상징으로 여겨진 출자총액제한제(출총제)의 부활 가능성을 언급한 것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당내 비판 여론이 적잖다.

친이(친이명박)계 장제원 의원은 트위터 글을 통해 “진정성을 인정하더라도 이게 최선이냐. 그렇게 절박하다면 대통령과 당대표가 직접 만나 얘기하면 안 되느냐”며 “윽박지르듯 공개 연판장을 돌리는데 자신들은 책임이 없나. 자기희생이 없는 혁신 연판장이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고 밝혔다.

친박(친박근혜) 성향의 권영세 의원도 트위터 글에서 “일부 쇄신파가 청와대의 전면사과를 요구하면서 당엔 대표의 말실수 사과 정도만 요구하는 것은 여당의 책임회피이거나 여당을 그저 청와대의 하부조직 정도로 생각하는 그릇된 사고방식의 발로”라면서 “남 탓보다 자기반성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중앙당사 폐지, 원외인사 및 민간전문가에 당직 개방 등을 골자로 한 당 지도부의 쇄신안을 놓고도 논란이 일 전망이다.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은 쇄신안에 대해 “중앙당사 폐지 얘기는 국민이 아무런 관심이 없고, 비례대표를 ‘나가수식’으로 국민참여 경선하는 것은 쇼이고, 당직을 외부 인사에게 준다는 것은 무책임한 얘기”라고 비판했고, 친이계 안형환 의원은 한미FTA 처리 문제와 관련해 "당 일각에서 한미FTA를 잘못 처리했다가는 공멸할 수 있다며 유화론을 말하는데 FTA는 한나라당이 스스로 죽는 때이자 장소이며, 이를 통해 죽고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