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삼성바이오로직스 코스피 상장 위해 규제 완화" 시사

아주경제 임애신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국내에 상장하는 대신 코스피 시장으로의 진출을 희망했고, 이에 따라 금융당국이 상장요건을 완화한 정황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제기됐다.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16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장을 위해 나스닥 등 해외시장을 알아보고 있었고 요건도 충족했다"면서 "한국거래소는 국내 시장 활성화와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기회 확대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지속적으로 국내 상장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임 위원장은 "이후 거래소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국내 상장 유치를 위해 금융위에 상장규정 완화를 건의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코스닥 상장 요건을 충족한 상태였다. 하지만 바로 코스닥에 상장하지 않고 코스피 상장요건이 완화된 2016년 11월 코스피시장에 입성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코스닥시장에는 상장 안하겠다고 이야기 했냐"는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임 위원장은 "거래소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국내상장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그런 의견이 반영됐고 논의 됐으리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국내 상장을 위해 코스피 상장 규정을 완화한 것"이라면서 "삼성을 위해 규정을 완화했다는 것 자체가 특혜"라고 지적했다.

이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해명과 배치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14일 "코스피 상장 규정 개정 전 나스닥과 코스닥 상장이 가능했다"며 "상장 검토 과정에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의 지속적 권유와 국내 여론,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코스피 상장 추진을 결정했다"고 밝히 바 있다.

임 위원장은 "일반적으로 투자자 구성이나 시장에 들어와 있는 투자자들의 양태로 볼 때 아직 코스닥이 코스피만큼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그러다보니 코스피를 선호하는 현상이 있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자본시장법을 고쳐서 거래소의 양태를 바꿔줘야 한다"면서 "시장별로 구분하고 시장별로 경쟁하게 만들어야 지금과 같은 코스닥 기피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박찬대 의원실 관계자는 임 위원장 발언에 대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국내 상장 과정에서 코스닥이 아닌 코스피 상장을 원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