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세계적 수준 실험쥐 표현형 분석 플랫폼 구축

  • 실험쥐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효과 검증하고 관련 연구 효율성 향상 기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9일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 성과전시회'를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은 과기정통부가 마우스(실험쥐) 연구 인프라 조성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10년 간 1700억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마우스는 생명공학연구 과정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험동물이다. 특정 유전자와 질환과의 상관관계를 밝힌다거나, 신약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마우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변이 인자에 따른 마우스의 생리학적 특성 변화를 정확히 확인하는 표현형 분석이 필수라고 평가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2013년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을 출범시키며 국내 최초로 마우스 표현형 분석 플랫폼을 조성하고, '국제마우스표현형컨소시움(IMPC)'에 가입해 미국, 유럽연합과 함께 2만여종의 유전자변형마우스 실물과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사업단은 세계 최초로 4세대 유전자 가위(Cpf1)를 이용한 마우스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확보하고, 연구자들이 필요로 하는 신규 마우스 모델 70종을 제작, 제공했다. 또한 비만 및 대사, 시각·청각·후각과 같은 질환들을 마우스에 발현시키고 질환 발병·개선 정도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는 분석 기술을 마우스 질환검진 서비스로 제공해 국내 연구력을 향상 시켰다.

기존에는 연구자들이 직접 필요한 마우스를 확보하고 질환 분석도 수행함에 따라 연구 효율과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사업단은 연구에 필요한 마우스를 확보·공급하고, 그 동안 개인 연구실 수준에서 분석이 어려웠던 미세한 부분까지 정밀 분석, 지원해 바이오 연구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있다.

사업단의 기술 개발과 서비스를 통해 해외 선도국과의 기술수준 격차가 사업단 착수시점 4.9년에서 2.2년으로 줄어들었고, 마우스 분야 연구환경을 선진국형으로 전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성과전시회는 마우스 연구 인프라와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성과를 소개함으로써 국가적으로 조성한 마우스 인프라를 국내·외 연구자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자 마련됐다.

성과 발표와 함께 전시 부스를 활용한 개별 상담을 진행하고, 사업단 서비스를 지원받아 완성한 연구 성과로 창업을 희망하는 연구자를 위해 광주과학기술원 박한수 교수와 미래에셋벤처투자의 바이오 창업 관련 강연도 제공한다.
 

[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