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축 심리 만성화] 성장률 반등은 성공…잠재성장률은 숙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선영 기자
입력 2020-01-21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반등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전망이어서 사실상 가계와 기업이 이를 체감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2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한 달 전보다 0.13포인트 오른 99.10을 나타냈다. 지난해 10월 선행지수가 29개월 만에 상승 반전한 데 이어 두 달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 역시 올해 국내 GDP 전망치를 2.3%로 제시해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 GDP를 2.0%로, 민간에서는 1.9%로 예상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수치상 성장률이 바닥을 찍고 상승세로 돌아선 것이다.

그러나 경제주체들이 이를 체감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숫자 자체는 올랐지만 여전히 잠재성장률인 2.5~2.6%를 하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잠재성장률은 이론적으로 한 나라가 생산요소를 모두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경제성장률을 의미한다. 잠재성장률을 하회하는 성장률은 반등이 이뤄진다고 해도 한계가 명확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잠재성장률 하락폭은 다른 OECD 국가와 비교해도 눈에 띄게 크다.

2021년 잠재성장률은 우리나라가 경기 정점을 찍었던 2017년의 잠재성장률(3.1%)과 비교해 0.7%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터키를 제외한 OECD 35개 회원국 중 아일랜드(-3.0%포인트), 아이슬란드(-0.9%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다.

잠재성장률 하락은 일종의 구조적인 성장 둔화 요인으로 꼽힌다. 이러한 부담 요인이 상존하는 상황에서 실제 성장률이 크게 반등하는 것은 쉽지 않다. 반등이 이뤄지더라도 구조적인 요인에 밀려 일시적인 이슈로 평가절하될 수 있다.

나랏돈에 기댄 성장률도 문제다. 정부는 올 상반기 재정집행률 목표를 62%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목표치(61%)를 웃도는 수치로, 목표치로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경기가 회복세로 방향을 튼 것과 어느 정도의 강도로 회복할 수 있는지는 별개의 문제"라며 "늘어난 정부지출로 성장률이 목표치까지 도달할 수는 있겠지만,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수치는 경기 반등에 100% 성공했다고 보기 힘들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