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최고(最古)의 산성, 배산성지 7세기 전 '석축산성'으로 추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5-11 17:2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형적인 고대 석축산성, 치소성(治所城)일 가능성 커

부산 배산성지 전경.[사진=부산시]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부산시 기념물 제4호인 배산성지 7세기 이전에 지어진 부산에서 가장 오래된 석축산성이며, 치소성(治所城}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시립박물관(관장 박방룡) 문화재조사팀은 지난 3월 29일부터 연제구 연산동에 위치한 배산성지(시기념물 제4호)에 대하여 유적의 정비, 복원 계획의 기초조사인 시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연제구 연산동 산38-1번지에 위치한 배산성지는 1970년대 지표조사에서 정상부의 9부 능선을 이중으로 에워 싼 전형적인 토축산성으로 알려져 있다. 배산성지는 지형적으로 경사가 급한 사면에 성벽이 위치하고 있는데 산책로 및 소규모 체육시설 등이 조성되면서 크게 훼손되어 성벽의 존재여부 파악조차도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배산성지에 대한 어떠한 문헌기록도 남아있지 않아, 고고학적 조사 외에는 배산성지의 실체를 파악할 단서가 없었다. 2009년 시립박물관의 정밀측량 지표조사를 통해 성곽범위와 규모 및 잔존상태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정밀 발굴조사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현재 탐색갱(트렌치)을 설치하여 시굴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배산성지 조사결과, 배산성지는 기존에 알려진 토성이 아닌 내ㆍ외벽과 외벽에 성벽 기초를 보강하는 시설인 기단보축을 갖춘 전형적인 고대 석축산성임을 밝혀냈다. 기단보축은 부산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된 것으로 7세기 전․중반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진 기장산성에서는 기단보축이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확인된 석성의 규모는 내-외벽 간 성벽의 너비가 최대 5.7m이고, 기단보축을 포함한 전체 성벽의 너비는 최대 8m에 이른다. 성 전체 둘레가 약 1.2㎞에 이르고 성벽 높이는 최소 5m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축조 당시 상당한 노동력과 기술력이 동원된 것으로 판단된다.

배산성지의 정상부 평탄면에 기둥자리에 돌(초석)을 놓아 세운 기와건물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초석 간의 거리가 3m 이상으로 확인돼 대형 건물지로 추정된다. 입지면에서 조망권이 탁월한 산성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므로 당시 배산성의 경영과 관련된 관청 건물로 추정된다.

기존에 추정 집수지로 알려진 우물터에서 남쪽으로 약 20m 떨어진 곳에서 직경 약 12m 내외의 호안석축(護岸石築:물을 가두기 위해 돌로 둘러쌓은 시설) 1기가 새롭게 확인됐다. 입지 상 성곽 북쪽의 경사면에서 완만하게 이어지는 넓은 평탄대지에 조성된 것으로 볼 때 성벽 안쪽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통제하고 성 내의 용수를 사용하기 위한 집수지로 추정된다. 호안석축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7세기 전반에 축조된 기장산성의 호안석축과 유사하여 비슷한 시기에 축조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조사 결과로 볼 때 배산성지는 산봉우리를 둘러싼 테뫼식의 석축산성으로 바다와 내륙으로 이어지는 수영강과 온천천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조망권을 가진다. 따라서 당시 배산성지는 동남해안에서 내륙으로 진입하는 첫 관문으로서 침입에 대한 해안 경비와 방어를 수행하는 군사적 요충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사한 규모와 구조를 가지는 부산 인근의 고대 산성인 김해 분산성(사적 제66호), 거제 둔덕기성(사적 제509호), 거창 거열산성(사적지정 예정), 남해 대국산성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또한 새롭게 발견된 대형의 기와건물지와 원형 집수지는 배산성 내의 정치적․군사적 주둔지 및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주요 시설로 보인다. 따라서, 배산성지는 당시 이 지역을 관장하던 치소성(治所城)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정식발굴조사가 이루어진다면 고대 배산성 내의 공간구조 및 생활상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립박물관은 오는 5월 12일 오전 11시 배산성지 시굴조사 현장에서 이번 조사내용 및 유적의 성격 검토, 향후 정비․복원에 관한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한다. 또한 5월 12일 오후 3시 같은 장소에서 부산 시민들을 대상으로 배산성지의 조사 성과를 널리 알리고, 문화 유적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현장공개 설명회도 개최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