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재연 강원대 총장은 "통합 강원대 출범을 통해 대학의 규모와 위상이 높아지면 그만큼 국가지원사업, 연구비 수주, 민간 협력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대학 재정도 지금보다 더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총장은 아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여기에 더해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이 현실화한다면 대학 재정 1조원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총장은 취임 당시 "대학 재정 1조원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연구비와 장학금 확대 등으로 최고의 교육·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질 높은 강의와 다양한 능력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해 우수한 인재 양성은 물론 지역 혁신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겠다고 공언했다.
정 총장은 "국가 지원금과 지자체 대응사업 유치를 통해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하고 있다"며 "정부 부처와 긴밀하게 협력해 교육 및 연구 분야 국책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전략 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사업을 발굴해 지역의 재정적 지원도 끌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산학협력을 강화해 연구비 수주와 기술사업화도 확대하고 있다"면서 "정부 R&D 사업과 더불어 지역 기업과 공동 연구, 기술이전, 창업 지원 등으로 산학연계 수익을 다변화하고 있으며, 대학이 보유한 기술과 지식이 실제 산업과 연계되도록 지속적으로 중개와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고 했다.
또 "대학이 보유한 자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자체 수입을 증대하고 있다"며 "국유재산의 효율적 임대, 스포츠센터·평생교육원 등 시설의 활용, 유휴공간의 창업 공간 전환 및 임대 등으로 수익 창출 모델을 개발하고 있으며, 자산 운용의 투명성과 효율성도 함께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총장은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재학생 충원율 제고와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도 힘쓰고 있다"면서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입시 전략을 재정비하고, 국제화 역량을 강화해 다양한 국가의 유학생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교육과 생활 지원 체계를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