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41607947540.jpg)
13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월 미국 소비자물가(CPI) 발표 직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3월에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97.5%까지 뛰었다. 6월까지 금리 동결을 예상한 확률도 전날 50.3%에서 66.7%로 급등했다. 9월은 돼야 금리를 내릴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물가 상승률이 7개월 만에 3%대에 재진입하면서 피벗(통화정책 완화) 기대가 사라지고 있다. 브라이언 모이니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고경영자는 "올 들어 미국 소비자 지출이 강해졌다"며 "연준이 금리 인하를 보류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8곳 평균치 기준으로 연내 연준의 금리 인하 횟수는 0~1회, 한은의 인하 횟수는 2~3회다. 전망대로 한은이 연준보다 금리를 빠르게 내리면 현재 1.5%포인트인 양국 간 금리 차는 최대 2.50%포인트까지 벌어지며 역대 최대 폭이 된다. 외국인 투자금 이탈과 환율 상승 요인이다.
고환율 여파로 물가 불안이 확산하는 점도 금통위를 주저하게 한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에 하루에도 수차례 출렁임을 반복하며 나흘 연속 달러당 1450원대에 머물렀다. 고환율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은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린다.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를 기록하며 5개월 만에 한은 목표치(2.0%)를 상회했다. 한은은 지난해 초 높았던 석유류·농산물 가격의 기저효과로 물가가 2월부터 다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치고 있다. 고환율이 1월 물가 상승률에 미친 영향은 0.1%포인트에 불과하다는 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반면 전문가들은 국내 물가가 예상보다 더 오를 수 있다고 지적한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취임 이후 미국산 원유 가격과 관세 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안일하게 보면 안 된다"며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사재기 심리가 생기며 물가가 조금씩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도 "트럼프가 원자재에 관세를 매기면 국제 유가가 안정되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유가와 인건비 상승 등 공급 측 요인으로 물가가 뛸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한은이 이달 금리를 내리면 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물가는 더 오르고 소비는 위축될 것"이라며 "지금은 금리를 동결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